GitHub - minjeongss/TodayILearn: 하루하루 공부한 기록을 적습니다. ✏️
하루하루 공부한 기록을 적습니다. ✏️. Contribute to minjeongss/TodayILear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0. 기록의 이유
여름방학, 학교에 남아 스스로 공부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의무감이 사라지는 기분을 받을 때가 왕왕 있다. 더불어 프로젝트 개발은 깃허브 업로드에 따른 성과를 체감할 수 있지만, 리액트 공부를 진행할 때엔 VSCode에서 코드를 작성하거나 노션에 기록을 하게 되어 공부의 결과를 체감하지 못하는 것을 느꼈다.
학습일지를 작성하는 친구의 추천에 힘입어 TIL과 WIL을 작성하기로 결심했다.
TIL (=Today I Learned)는 깃허브에, WIL (=Week I Learned)는 기술 블로그에 기록할 것이다.
코딩을 하며 겪는 이모저모를 기록하다 보면, 성장일지가 될 수 있을 것 같단 소박한 희망을 품고 출발한다.
이번주 WIL 시작합니다-!
1. 이번주 한 일: 🏝️🍑🐳
- 토요일
- React 강의 듣기 (Part 5)
- TIL 제작
- 교보문고에서 무해한 복숭아 읽기 🍑
- 일요일
- React 강의 듣기 (Part 5)
- 23.07.29 TIL 에러 해결 (feat.선생님의 도움 🍀)
- 개인 프로젝트 아이디어 생각하기
- 꾸글 네트워킹 데이 참여 💻
2. 이번주 학습 내용
이번주는 리액트에 대해서만 공부했다. 즉, 전부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내용이다.
- 객체의 구성 및 전달
객체는 key와 value의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련된 예시로 reducer를 이용한 dispatch부분이 존재한다.
dispatch({type:'added',name:target,title:title});
중괄호 {} 안에 전달되는 요소들은 모두 객체이다. 즉, key가 name이며 value가 target이라고 볼 수 있다.
- 객체의 불변성
객체마다 고유한 참조값이 존재하며, 값을 변경하길 원한다면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야 한다.
리액트는 참조값에 변경이 생겨야 변화를 인지할 수 있기에, 새로운 참조값을 가지는 객체를 생성해야 하는 것이다.
프로젝트가 복잡해지고 생성해야 하는 객체가 많아지는 상황에선 Immer를 사용하면 용이하게 개발을 할 수 있다.
Immer는 변경 불가능한 객체를 변경 가능해 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단, 객체는 불변성을 가지고 있기에 실제로 변경하는 것은 아니고, Immer 내부에서 임의로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쳐 변화를 반영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직접 객체를 새로 생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다.
3. 이번주 느낀 점
TIL의 효과는 위대했다!
⭐ 에러 해결 과정의 변화
리액트 공부를 하며, 막히는 부분이 생기면 스트레스를 잔뜩 받고 앞으로 이어 나가지를 못했었다. TIL을 기록하기 시작하며, 막히면 그걸 TIL의 필요한 부분 - [에러]에 작성하고 다음 강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 본인의 부족함 직시
미숙한 점을 인지하고 원인을 파악하게 되었다.
특히 자바스크립트의 기본이 부족하다는 것을 여실히 느꼈다. 이를 묵인하고 개발을 지속할 수 있었지만, 스스로의 부족함을 직시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 앞으로 나아갈 일만 남았군.
'회고 > 생각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2023.08.2주차 + 3주차 | 프로그래밍과 독서를 하자 (0) | 2023.08.21 |
---|---|
[WIL] 2023.08.1주차 | 프로젝트 본격적 돌입 (0) | 2023.08.06 |
복잡한 생각의 늪에서 명료해지는 방법 (0) | 2023.05.28 |
잊혀지는 나xx 탄탄한 일상 회고록 (0) | 202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