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 기본/Python

[점프 투 파이썬] 4장 - 함수

4장의 함수 부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함수

📌 선언(def 활용)

def add(a,b): #a,b는 매개변수
    return a+b #출력값이 있는 함수

one=1
two=2
total=add(one,two) #one,two는 인수

📌 선언(lambda 활용)

add=lambda a,b: a+b
result=add(3,4)

📌 매개변수 

👉🏻 인수와의 차이

- 매개변수: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

- 인수: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

👉🏻 여러개 입력받기(*)

def add_many(*args):
    result = 0
    for i in args:
        result = result + i
    return result

👉🏻 딕셔너리 입력받기(**)

def print_k(**kwargs):
    print(kwargs)

print_k(a=1,b=2)
{ 'a':1, 'b':2 }

👉🏻 매개변수 값 위치에 상관없이 지정해주기(인수 활용)

def add(a,b):
    return a-b

add(b=100,a=1)
-99

👉🏻 초기값 지정해주기(단, 가장 뒷 자리에 적어주어야 함)

def say_myself(name,old,man=True):
	print("이름:"+name)
    print("나이:"+old)
    if man:
    	print("남자")
    else:
    	print("여자")

📌 출력

🚨 유의사항: return은 한 번만 작용 가능

👉🏻 하나의 함수에서 두 개의 결과값을 가지는 방법

def add_and_mul(a,b):
	return a+b,a*b #오류 발생X

result=add_and_mul(3,4)
result=(7,12) #튜플의 형태

#활용
result1,result2=add_and_mul(3,4)

result1=7
result=12

 

🔎 입력

a=input()
b=input("숫자를 입력하시오: ") #안내 띄우기

🚨 유의사항: input()을 통해 입력받은 것의 자료형은 str이다!

 

🔎 출력

print()
print("Life" "is" "too short") #+로 연결하는 것과 동일
print("Life","is","too short") #띄어쓰기는 ,(콤마)로 표현

 

다음은 4장의 파일 부분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